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타입스크립트
- api 요청 수 제한
- 유효시간 설정 url
- api 비동기처리
- AWS
- 프로그래머스
- 우아한테크코스
- 모던 자바스크립트
- compateto
- 우아한 테크코스
- this
- redis
- oauth
- Dev-Matching
- 스프링부트
- TypeORM
- 프리코스
- 음악 url 파일 다운로드
- 검색
- 프론트엔드
- Deep Dive
- concurrency limit
- 자바스크립트
- 딥다이브
- 코멘토 #코멘토실무PT #실무PT후기 #실무강의 #리액트강의 #웹프로그래밍 #react #웹개발실무
- bucket4j
- 파일 url
- 프론트엔드 과제
- invalid_grant
- NestJS
Archives
- Today
- Total
개발 알다가도 모르겠네요
함수 본문
728x90
- 코드의 재사용
- 동일한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코드를 함수로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.
- 유지보수 편의성 & 코드의 신뢰성
- 같은 코드의 중복으로 인한 수정에 걸리는 시간과 사람의 실수를 억제하고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음.
- 코드의 가독성
- 함수는 객체 타입의 값.
- 적절한 함수 이름은 함수 내부 코드를 이해하지 않고도 함수의 역할을 파악할 수 있게 돕고, 이는 코드의 가독성을 향상시킴.
// 변수에 "함수 리터럴"을 할당
var f = function add(x, y) {
return x + y;
};
- 리터럴(literal) 은 문자 or 약속된 기호를 사용해 값을 생성하는 표기 방식.
- 위에 코드는 함수 리터럴 을 변수에 할당 한 것.
- 즉, 함수 리터럴도 평가되어 값을 생성하며, 이 값은 객체(object).
- 단, 함수는 일반 객체 와는 다름. ( 일급객체 )
- 일반 객체 → 호출 X
- 함수 → 호출 O
함수 정의
1.함수 선언문
function add(x, y) {
return x + y;
}
2.함수 표현식
var add = function (x, y) {
return x + y;
};
3.화살표 함수(ES6)
var add = (x, y) => x + y;
4.Function 생성자 함수
var add = new Function("x", "y", "return x + y");
+ "변수" -> 선언(declaration)한다.
+ "함수" -> 정의(definition)한다.
코드의 문맥에 따른 자바스크립트 엔진의 함수 해석
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코드의 문맥 에 따라 동일한 함수 리터럴을 함수 표현식 or 함수 선언문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있음.
- { } 은 코드 블록 일 수도 있고, 객체 리터럴 일 수도 있음. → { }은 중의적 표현
- { } 이 단독으로 존재 →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{ } 을 블록문으로 해석
- { } 이 값으로 평가되어야 할 문맥에서 피연산자 로 사용될 경우 →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{ }을 객체 리터럴로 해석
- 함수도 같은 방식.
- 함수 리터럴이 단독으로 사용 → 함수 선언문으로 해석
- 함수 리터럴이 값으로 평가되어야 하는(변수에 할당 or 피연산자로..) 문맥 → 함수 리터럴 표현식으로 해석
함수 선언문과 함수 리터럴 표현식
이 둘은 함수가 생성되는 것은 동일하지만 호출에서 차이가 있음.
//함수 선언문으로 함수 호출
function foo() {
console.log("foo"); // foo
}
foo();
//함수 리터럴 표현식으로 함수 호출
(function bar() {
console.log("bar"); // ReferenceError: bar is not defined
});
bar();
함수 리터럴
함수 이름은 함수 몸체 내에서만 참조할 수 있는 식별자
- 함수 몸체 외부에서는 함수 이름으로 함수를 참조할 수 없음. == 함수 몸체 외부에서는 함수 이름으로 함수를 호출할 수 없음.
- 즉, 함수를 가리키는 식별자가 없다는 것과 같은 의미
함수 리터럴 표현식으로 함수 호출 시 메모리 구조
함수 선언문으로 함수 호출 시 메모리 구조
-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함수 선언문을 해석해 함수 객체를 생성
- 생성된 함수 객체를 가리키는 유효한 식별자가 필요
- 따라서,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생성된 함수를 호출하기 위해 함수 이름과 동일한 이름의 식별자를 암묵적으로 생성하고, 거기에 함수 객체를 할당.
결국, 함수는 함수 이름으로 호출하는 것이 아니라, 함수 객체를 가리키는 식별자로 호출하는 것.
위 코드는 함수 표현식.
💡 결론적으로,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"함수 선언문"을 "함수 표현식으로 변환" → "함수 객체를 생성"
함수 호출 & 반환문
- 함수의 매개변수(parameter) 는 함수 몸체 내부에서만 참조할 수 있음. 즉, 매개변수의 스코프(유효 범위)는 함수 내부.
- 함수는 매겨변수의 개수와 인수(argument)의 개수가 일치하지 않아도 됨.
- 인수가 매개변수보다 부족하면, 나머지 매개변수에 대해서는 암묵적으로 undefined
- 인수가 매개변수보다 많으면, 모든 인수는 암묵적으로 arguments 객체에 프로퍼티로 보관
function add(x, y) {
console.log(x, y); // 1 2
return x + y;
}
add(1, 2);
console.log(x, y); //ReferenceError: x is not defined
// 매개변수의 개수 > 인수의 개수 = 나머지 매개변수 undefined
function mul(x, y) {
console.log(x, y); // 1 undefined
}
mul(1);
// 매개변수의 개수 < 인수의 개수 = arguments 에 보관
function sub(x, y) {
console.log(arguments); // [Arguments] { '0': 3, '1': 2, '2': 1 }
return x - y;
}
sub(3, 2, 1); // 1
자바스크립트 문법상의 문제
1️⃣ 자바스크립트 함수는 매개변수와 인수의 개수가 일치하는지 확인하지 않음.
2️⃣ 자바스크립트는 "동적 타입 언어" 이기 때문에 자바스크립트 함수는 매개변수의 "타입을 사전에 지정할 수 없음."
따라서, 자바스크립트의 경우 함수를 정의할 때, 인수가 전달되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음.
- typeof 연산자 를 사용하는 방법
- 인수가 전달되지 않은 경우 단축 평가 를 사용하는 방법
- 매개변수에 기본값(default value) 을 할당하는 방법
- 정적 타입 선언 이 가능한 Typescript 사용하는 방법
// 1️⃣ typeof 연산자로 arguments 문제 방지
function add(x, y) {
if (typeof x !== "number" || typeof y !== "number") {
throw new TypeError("인수는 모두 숫자(number)값 이어야 합니다.");
}
return x + y;
}
console.log(add(1, 2)); // 3
console.log(add(2)); // TypeError: 인수는 모두 숫자(number)값 이어야 합니다.
console.log(add("a", "b")); // TypeError: 인수는 모두 숫자(number)값 이어야 합니다.
// 2️⃣ "단축 평가"로 arguments 문제 방지
function mul(a, b, c) {
a = a || 1;
b = b || 1;
c = c || 1;
return a * b * c;
}
console.log(mul(1, 2, 3)); // 6
console.log(mul(1, 2)); // 2
console.log(mul(1)); // 1
console.log(mul()); // 1
// 3️⃣ parameter default value 설정으로 argument 문제 방지
function sub(a = 0, b = 0) {
return a - b;
}
console.log(sub(10, 9)); // 1
console.log(sub(10)); // 10
console.log(sub()); // 0
값에 의한 호출 vs 참조에 의한 호출
- 값에 의한 호출(call by value) : 함수 호출시 매개변수에 원시 값(primitive value)을 전달
- 참조에 의한 호출(call by reference) : 함수 호출시 매개변수에 객체(object) 를 전달
값에 의한 호출
-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(immutable value) 성질
- 즉, 원시 타입의 argument 는 값 자체가 복사되어 매개변수에 전달
- 이 값을 변경(재할당을 통한 변경)해도 원본은 훼손되지 않음. ( side effect X )
참조에 의한 호출
- 객체는 변경 가능한 값(mutable value) 성질
- 즉, 객체 argument 는 참조 값이 복사되어 매개변수에 전달
- 참조 값을 통해 전달한 객체를 변경할 경우 원본이 훼손됨. ( side effect O )
[ 참조에 의한 호출의 문제점 ]
객체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"상태 변화 추적"이 어려움.
function changeVal(primitive, obj) {
primitive += 100;
obj.name = "WIEEE";
}
// 외부 상태
var num = 100; // 원시 값
var person = { name: "WI" }; // 객체
console.log(num); // 100
console.log(person); // { name: 'WI' }
changeVal(num, person);
console.log(num); // 100
console.log(person); // { name: 'WIEEE' } 💩
- 객체를 불변 객체(immutable object) 로 만들어 사용하는 것
- 객체의 복사본을 새롭게 생성하는 것은 비용(cost)이 원본 객체 규모에 따라 커질 수 있음.
- 하지만, 객체를 마치 원시 값처럼 변경 불가능한 값으로 동작하게 만들 수 있음.
- 방법으로는 깊은 복사(deep copy) 를 통해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고 재할당. → side effect X
[ 💡 순수 함수 ]
+ 외부 상태를 변경하지 않고 외부 상태에 의존하지도 않는 함수를 "순수 함수"
+ 순수 함수를 통해 부수효과(side effect)를 최대한 억제하고 오류를 피해 프로그램 안정성을 높인다. = "함수형 프로그래밍"
여러가지 함수
- 즉시 실행 함수(IIFE, Immediately Invoked Function Expression)
- 즉시 실행 함수는 반드시 그룹 연산자( ... )로 감싸야 함.
- 즉시 실행 함수는 함수 이름이 없는 익명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
// 즉시 실행 함수 - 일반적인 방식 (function () { /// ... })();
- 재귀 함수(recursive function)
-
중첩 함수(nested function) == 내부 함수(inner function)
- 중첩 함수는 외부 함수 내부에서만 호출할 수 있음.
- 중첩 함수는 자신을 포함하는 외부 함수를 돕는 헬퍼 함수(helper function) 역할을 함.
function outer() { var x = 1; // 중첩 함수 == 내부 함수 function inner() { var y = 2; // 외부 함수의 변수 참조 console.log(x + y); // 3 } inner(); } outer();
- 콜백 함수(callback function)
- 매개변수를 통해 함수의 외부에서 콜백 함수를 전달받은 함수를 고차 함수(Higher-Order Function, HOF) 라고 함.
- 콜백 함수는 고차 함수에 의해 호출됨.
- 고차 함수는 필요에 따라 콜백 함수에 인수(argument)를 전달할 수 있음. → 그렇기 때문에 고차함수에 콜백함수 전달 시 콜백 함수를 호출하지 않고 함수 자체를 전달해야 함.
- 함수는 일급 객체 이므로 함수의 매개변수를 통해 함수를 전달 가능.
// 외부에서 전달받은 func 를 n 만큼 반복 호출 - 고차 함수 repeat function repeat(n, f) { for (var i = 0; i < n; i++) { f(i); } } // 콜백 함수 정의 - logAll var logAll = function (i) { console.log(i); }; // 반복 호출할 함수를 인수로 전달 repeat(5, logAll); // 0 1 2 3 4 // 콜백 함수 정의 - logOdd var logOdd = function (i) { if (i % 2) console.log(i); }; // 반복 호출할 함수를 인수로 전달 repeat(5, logOdd); // 1 3
- 순수 함수&비순수 함수
var count = 0; // 현재 카운트를 나타내는 상태
// 순수 함수 increase는 동일한 인수가 전달되면 언제나 동일한 값을 반환한다.
function increase(n) {
return ++n;
}
// 순수 함수가 반환한 결과값을 변수에 재할당해서 상태를 변경
count = increase(count);
console.log(count); // 1
count = increase(count);
console.log(count); // 2
var count = 0; // 현재 카운트를 나타내는 상태: increase 함수에 의해 변화한다.
// 비순수 함수
function increase() {
return ++count; // 외부 상태에 의존하며 외부 상태를 변경한다.
}
// 비순수 함수는 외부 상태(count)를 변경하므로 상태 변화를 추적하기 어려워진다.
increase();
console.log(count); // 1
increase();
console.log(count); // 2
'학습일지 >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코프 (0) | 2022.07.07 |
---|---|
실행 컨텍스트 (0) | 2022.07.06 |
원시 값과 객체의 비교 (0) | 2022.07.05 |
객체 리터럴 (0) | 2022.06.29 |
연산자 (0) | 2022.06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