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우아한테크코스
- 모던 자바스크립트
- 프로그래머스
- 타입스크립트
- Deep Dive
- api 요청 수 제한
- oauth
- bucket4j
- concurrency limit
- redis
- 프론트엔드 과제
- 코멘토 #코멘토실무PT #실무PT후기 #실무강의 #리액트강의 #웹프로그래밍 #react #웹개발실무
- 스프링부트
- 프리코스
- this
- 프론트엔드
- NestJS
- 자바스크립트
- 검색
- Dev-Matching
- 음악 url 파일 다운로드
- 딥다이브
- api 비동기처리
- compateto
- invalid_grant
- AWS
- 유효시간 설정 url
- 우아한 테크코스
- 파일 url
- TypeORM
- Today
- Total
개발 알다가도 모르겠네요
코멘토 React 실무 PT 3주차 - React 스타일링 본문
<3주차 요약 >
1.디자인 시스템 세팅
2.Atomic 디자인
뷰를 Atoms(원자) -> Molecules(분자) -> Organisms(유기체) -> Templates -> Pages 순으로
작은 것들을 만들고, 결합해 좀 더 큰 단위의 뷰를 만들어 나가는 디자인 시스템.
3.반응형 웹
4.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알게 된 점
CSS
1. reset.css를 적용해야 html페이지에서 기본적으로 생기는 양 쪽 끝의 공백이 사라진다.
2. absolute를 쓸기 위해서는 부모의 position을 relative로 지정해야 한다.
그래야 절대적인 기준이 있기 때문에 다른 위치로 튀지 않는다.
3.margin: 0 auto 을 통해 자동으로 가운데정렬을 하자.
4.컴포넌트 간의 사이 간격은 gap을 통해 띄우자.
5.margin: 0 auto 을 통해 자동으로 가운데정렬을 하자.
6.컴포넌트 간의 사이 간격은 gap을 통해 띄우자.
7.스켈레톤을 만들때는 transition 0.5 정도 추가하면 스르륵하면서 바뀌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완성도가 올라간다.
flex-basis
Flex 아이템의 기본 크기를 설정
width를 따로 설정하지 않으면 컨텐츠의 크기
flex-grow
flex-basis의 값보다 커질 수 있는지를 결정
0: 원래 크기
1: 빈 공간도 메움
(1:2:1 등의 비율 설정 시 해당 비율로 빈 공간 메움)
flex-shrink
flex-basis의 값보다 작아질 수 있는지를 결정
0:원래 크기 (flex-basis보다 작아지지 X)
1: flex-basis보다 작아질 수 있음
flex
flex-grow, flex-shrink, flex-basis를 한 번에 쓸 수 있는 축약형 속성
flex: 1;
/* flex-grow: 1; flex-shrink: 1; flex-basis: 0%; */
flex: 1 1 auto;
/* flex-grow: 1; flex-shrink: 1; flex-basis: auto; */
flex: 1 500px;
/* flex-grow: 1; flex-shrink: 1; flex-basis: 500px; */
라이브러리
1.Dayjs가 날짜관련해서 가장 쉬운 라이브러리이니 잘 활용하자.
2.Swiperjs 사용
스와이프 사용시 버튼의 위치를 옮겨야 했는데 이 과정에서 많이 헤맸다.
https://github.com/nolimits4web/swiper/discussions/4219
결과적으로 위의 방법으로 해결.
기타
1. 폴더 중 util폴더는 로직과 관련없는 부분을 넣는다.
2. 이미지 불러오는 방법
- public에 asset폴더 추가해서 그 안에 이미지 넣어서 절대경로로.
- src의 경우 이미지가 압축이 된다고해서 많이 선호하는 편.
- require 문법을 통해 import없이 바로 불러오면 코드가 깔끔해진다.
'학습일지 > 코멘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코멘토 React 실무 PT 6주차 - WrapUp & 포트폴리오 (0) | 2022.02.13 |
---|---|
코멘토 React 실무 PT 5주차 - Mobx와 AWS 배포 (0) | 2022.02.13 |
코멘토 React 실무 PT 4주차 - API와 Postman (0) | 2022.02.07 |
코멘토 React 실무 PT 2주차 - Typescript 기반의 React 프로젝트 (0) | 2022.01.22 |
코멘토 React 실무 PT 1주차 - Git과 Figma를 통한 협업 (0) | 2022.01.14 |